2025 해외여행 주류 반입 한도 총정리 – 병수 제한 없지만 이건 꼭 지켜야!
본문 바로가기

2025 해외여행 주류 반입 한도 총정리 – 병수 제한 없지만 이건 꼭 지켜야!

생각의 지도 2025. 4. 14.

 

 

해외여행 중 면세점에서 술을 구매하거나 현지 와인, 위스키를 가져오고 싶을 때 꼭 알아야 할 정보!
2025년부터 바뀐 주류 면세 반입 기준은 기존보다 유연해졌지만 여전히 용량, 금액 기준은 꼭 지켜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입국 시 허용되는 주류 반입 한도와 초과 시 세금 부과 기준
</strong까지 꼼꼼하게 정리해드립니다.

2025 해외여행 주류 반입 한도 총정리 썸네일

  1. 2025년 주류 면세 기준 요약
  2. 반입 가능한 주류 조건
  3. 초과 반입 시 세금 부과 방식
  4. 자주 묻는 질문 (FAQ)
  5. 출국 전 확인 체크리스트

1. 2025년 주류 면세 기준 요약

2025년부터 해외여행 후 입국 시 주류 면세 기준이 일부 완화되었습니다.
이전까지는 1인당 **1병(1리터 이하)**로 제한되었지만, 올해부터는 병 수 제한이 사라지고 ‘총 용량’과 ‘총 금액’ 기준만 적용됩니다.

✅ 최신 면세 기준 (2025년 기준)
- 총 2리터 이하
- 총 금액 400달러 이하

예) 500ml 병 와인 4개 → 2리터 & 400달러 이하이면 반입 가능
예) 750ml 와인 3병 → 2.25리터 → 용량 초과로 면세 불가

 

2. 반입 가능한 주류 조건

술 종류와 알코올 도수에 관계없이, 다음 두 조건을 충족하면 면세 반입이 가능합니다.

- 총량이 2리터 이하일 것
- 총 구매금액이 400달러 이하일 것

✔ 도수 30% 이상의 위스키, 브랜디도 포함 가능
✔ 맥주, 와인 등 저도수 주류도 포함되며 종류별로 제한 없음
여러 병을 나눠 가져올 수 있지만, 합산 기준을 넘기면 과세 대상이 됩니다

❗Tip: 700ml 위스키 2병 = 1.4L로 면세 통과 가능!

 

3. 초과 반입 시 세금 부과 방식

주류 면세 기준(2L, 400달러)을 초과하면, 초과분에 대해 세금이 부과됩니다.
세율은 초과 금액 기준으로 차등 적용되며 다음과 같습니다.

✅ 2025년 기준 주류 과세율
- 초과금액 1,000달러 이하 → 20% 부과
- 초과금액 1,000달러 초과 → 30% 부과

📌 예시 1
- 총 주류 금액 700달러
- 면세 한도 400달러 초과분: 300달러
- 과세 대상 300달러 × 20% = 60달러 납부

📌 예시 2
- 위스키 1.5L + 와인 1L → 총 2.5L
- 용량 초과 → 전량 면세 불가 → 전체 과세 대상 적용 가능성 있음

 

4.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기내면세점에서 산 술도 제한되나요?
네. 기내, 해외면세점, 외국마트 등 어디에서 구매했든지 상관없이 한국 입국 시에는 동일한 기준이 적용됩니다.

 

Q2. 와인, 맥주, 증류주 구분 없이 합산되나요?
맞습니다. 종류와 무관하게 전체 주류를 ‘리터 단위’로 합산합니다.

 

Q3. 여러 사람이 함께 가져오는 경우는요?
1인당 기준이 적용됩니다. 동행인이 각각 2리터씩 가져오는 것은 가능하지만, 한 사람이 초과분을 여러 명 명의로 나누는 건 불가능합니다.

 

Q4. 아이와 동반 입국 시 아이 몫도 가능한가요?
주류는 성인(만 19세 이상)에게만 면세 한도 적용됩니다. 미성년자 명의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5. 출국 전 체크리스트

  • ✈️ 총 용량 2리터 이하, 총금액 400달러 이하인지 확인
  • 📦 병 수는 제한 없지만 총합 기준 초과 시 과세 대상
  • 💡 위스키, 와인, 맥주 등 모든 주류 합산해서 계산
  • 🧾 면세점에서는 구매 금액 영수증 꼭 챙기기
  • 👨‍👩‍👧‍👦 성인 기준 1인당 한도이므로 아이 몫 불가
  • 📌 기내/해외 어디서 구매했든 모두 동일한 기준 적용

댓글